18. 다이아토닉 코드 ② 사용법
다이아토닉은 조성음악에서 코드를 사용하는 뼈대를 제공합니다.
하나의 음계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다이아토닉 코드는 그 위치에 따라 각각의 기능을 갖습니다.
그리고 그 기능은 scale tendency에 영향을 받습니다.
scale tendency에 대한 설명은 다음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https://kumaju.tistory.com/entry/16-%EC%9D%8C%EC%9D%98-%EA%B2%BD%ED%96%A5-scale-tendency-%E2%91%A0
https://kumaju.tistory.com/entry/17-%EC%9D%8C%EC%9D%98-%EA%B2%BD%ED%96%A5-scale-tendency-%E2%91%A1
그래서 가장 안정적인 음을 가장 많이 포함한 Imaj7이 안정적인 울림을 지니며, 모든 chord들은 이 코드로 진행합니다.
그럼 다이아토닉 코드는 어떻게 사용하면 될까요?
그 사용은 주로 root 진행을 따릅니다.
1. 완전5도
가장 강한 진행감을 주는 완전5도 하행 입니다.
반복되는 코드진행에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2. 완전4도
완전5도 다음으로 진행감을 주는 완전4도 하행입니다.
완전5도에 비해 덜 사용되지만 역시 유용합니다.
3. 순차진행
부드럽고 완만한 진행감을 주는 순차진행입니다.
분위기를 점차 바꾸고 싶을 때 유용합니다.
4. 3도 상하행
완전5도나 순차진행과 비교했을 때 진행감이 중간에 위치한 것이 3도 진행입니다.
적당히 부드럽지만 진행감을 준다고 할 수 있습니다.
다이아토닉 코드를 제대로 사용한 이후, 다양한 코드로 활용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궁금한 사항은 쪽지나 댓글 문의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