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분류 전체보기 82

14. 7화음(7th chord)③ 7화음 악보(메이저, 도미넌트, 마이너, 하프 디미니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네 종류의 7화음을 모든 root에서 정리한 것입니다. 7화음의 기본 개념 등이 궁금하시면 다음을 참고하면 됩니다. https://kumaju.tistory.com/entry/8-7%ED%99%94%EC%9D%8C7th-chord%E2%91%A0-%EB%A9%94%EC%9D%B4%EC%A0%80-%EC%84%B8%EB%B8%90-%EB%A7%88%EC%9D%B4%EB%84%88-%EC%84%B8%EB%B8%90-%EC%84%B8%EB%B8%90-%ED%95%98%ED%94%84%EB%94%94%EB%AF%B8%EB%8B%88%EC%89%AC-%EC%84%B8%EB%B8%90 8. 7화음(7th chord)① 메이저 세븐, 마이너 세븐, 세븐, 하프디미니시 세븐1. 7화음의 구조 ..

음악 용어(자주 사용 되는 수식어)

르네상스부터 바로크 시대까지 음악에서 이탈리아의 영향이 컸기 때문에 많은 이탈리아어의 음악용어가 많습니다. 오늘 그 중 수식어로 자주 사용되는 표현의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용어설명사용 예Molto매우, 대단히molto allegro : 매우 빠르게 (다른 용어 앞에 사용)Assai매우, 풍푸한allegro assai : 매우 빠르게 (다른 용어 뒤에 사용)Più더욱Più mosso : 더욱 빠르게Poco조금poco diminuendo : 조금만 사라지듯이Poco a poco조금씩 조금씩poco a poco crescendo : 조금씩 커지면서 Ma non tanto하지만 그렇게 과하지 않게adagio ma non tanto : 느리지만 너무 느리지 않게 Ma non troppo하지만 너무 많지 않게..

Music Theory 2025.04.23

13. 3화음(triad)④ 3화음 악보(메이저, 마이너, 디미니시, 어그)

처음에는 코드 심볼로 코드를 인식하는게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모든 root에서 트라이어드를 정리했습니다. 트라이어드의 기본 개념 등이 궁금하시면 다음을 참고하면 됩니다. https://kumaju.tistory.com/entry/4-3%ED%99%94%EC%9D%8Ctriad-%E2%91%A0-%EB%A9%94%EC%9D%B4%EC%A0%80-%EB%A7%88%EC%9D%B4%EB%84%88-%EC%96%B4%EA%B7%B8%EB%A9%98%ED%8B%B0%EB%93%9C-%EB%94%94%EB%AF%B8%EB%8B%88%EC%89%AC%EB%93%9C-%ED%8A%B8%EB%9D%BC%EC%9D%B4%EC%96%B4%EB%93%9C 5. 3화음(triad) ① 메이저, 마이너, 어그멘티드, 디미니시..

아티큘레이션(Articulation)

아티큘레이션은 한 음(note) 혹은 음의 묶음이 연주되는 음악적 변수입니다. 연주에 재미와 다양성을 더할 수 있는 방법으로 소리의 시작과 끝을 구성하며, 그 시작(attack)과 감쇄(decay)를 결정합니다.이렇게 설명하면 너무 어려운 것 같지만, 쉽게 설명하면 음을 연주하는 방법라고 할 수 있습니다. 때문에 보통 note head에 표기합니다. 다음은 많이 사용되는 아티큘레이션입니다. 1. 스타카토 Staccato 짧게 끊어서 연주합니다. note head에 점을 찍어 표시합니다. 실제 연주에서 얼마나 짧게 할지는 음악적 맥락, 장르, 개인의 선택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스타카티시모 Staccatisimo 혹은 스피카토 Spicato는 스타카토보다 더 짧게 연주합니다. 2. 레가토..

Music Theory 2025.04.22

솔페지(Solfège)와 스케일 디그리(Scale degree)

1. 솔페지(Solfège) 솔페지는 청음, 시창을 공부할 때 사용하는 방법으로 적용하는 방법은 두 가지입니다. 바로 이동 도(movable do)와 고정 도(fixed do) 입니다. 이동도법은 음계에 따라 음의 이름이 이동하는(바뀌는) 것이고,고정도법은 말 그대로 음이름이 고정된 것입니다. 조성음악의 체계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동도법에 익숙해지는 것이 더 도움이 됩니다. 조성음악 시창과 청음을 위해서도 이동도법이 훨씬 유용합니다. 다음은 메이저 스케일과 반음계적 음을 포함한 이동도법의 솔페지 이름입니다. 2. Scale Degree 스케일 디그리는 말 그대로 음계 안에서 위치에 따른 이름입니다. 음계 내에서 그 기능에 따라 붙여진 이름으로 특히 화성적 기능에 따라 그 이름을 갖습니다. 스케..

Music Theory 2025.04.22

리듬 읽는 법 ④ 3/4박자와 6/8박자

3/4박자와 6/8박자는 한 마디에는 들어가는 길이가 동일합니다. 하지만 3/4는 4분음표를 읽을 수 있도록, 6/8은 8분음표를 읽을 수 있도록 표기해야 합니다. 다음은 실제 길이는 같지만, 각각에 적합한 리듬을 그린 것입니다. 6/8박자는 8분음표 세 개를 볼 수 있게 표기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실제 노래를 해보면 그 차이가 더 명확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궁금한 사항은 쪽지나 댓글 문의주세요!

Music Theory 2025.04.21

12. 다이아토닉 코드 ①

다이아토닉 코드는 조성음악에서 중심이되는 코드입니다. 다이아토닉의 개념이 궁금하시면 다음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https://kumaju.tistory.com/71 10. 다이아토닉(diatonic)이란 무엇인가? ①다이아토닉은 조성음악(tonal music)을 공부할 때 가장 중요한 개념입니다. 조성음악은 쉽게 말해 노래할 때 '도'가 있는 음악입니다. 다이아토닉이 중요한 이유는 코드의 진행을 만드는 규칙을 제kumaju.tistory.com https://kumaju.tistory.com/75 11. 다이아토닉이란 무엇인가? ②지난 글에서는 다이아토닉의 개념을 크로매틱과 비교해 알아보았습니다. 다음을 참고하면 됩니다. https://kumaju.tistory.com/71 10. 다이아토닉(diaton..

MuseScore 4.5 레세 비브레 타이 (뮤즈스코어 새 기능)

악보에 들어가는 다양한 텍스트(다이나믹, 가사, 익스프레션 등)의 입력이 더 전문적으로 바뀌었습니다. 전문적 사보를 위해 Finale나 Sibelius를 사용했던 분들에게 유용한 정보입니다. 1. barline 위로 표기 가능 간격이 좁은 악보를 위한 작업이 더 수월해졌습니다. 2. 레세 비브레 타이(laissez-vibrer ties) 레세 비브레는 비브라토를 사용하라는 의미로 짧은 타이로 표기합니다. 이 표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지정 툴바 설정이 필요합니다. 메뉴에 추가된 아이콘을 이용해 레세 비브레 타이를 입력할 수 잇습니다. 궁금한 사항은 쪽지나 댓글로 문의주세요!

MuseScore 2025.04.20

11. 다이아토닉(diatonic)이란 무엇인가? ②

지난 글에서는 다이아토닉의 개념을 크로매틱과 비교해 알아보았습니다. 다음을 참고하면 됩니다. https://kumaju.tistory.com/71 10. 다이아토닉(diatonic)이란 무엇인가? ①다이아토닉은 조성음악(tonal music)을 공부할 때 가장 중요한 개념입니다. 조성음악은 쉽게 말해 노래할 때 '도'가 있는 음악입니다. 다이아토닉이 중요한 이유는 코드의 진행을 만드는 규칙을 제kumaju.tistory.com오늘을 비슷한 개념이지만 넌다이아토닉(non-diatonic)과 비교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넌다이아토닉은 말 그대로 다이아토닉이 아닌 음들을 설명할 때 사용합니다. 크로매틱이 반음관계에 의한 진행을 중시한 진행이라면넌다이아토닉은 다이아토닉이 아닌 음들을 말하는 개념입니다. 이 용어는..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