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usic Theory

조표(key signature) 보는 법 - 장조(major key)

kumaju 2025. 4. 9. 12:16
728x90
반응형

조표는 한 악곡에서 사용되는 음계를 알려주는 표시입니다.

 

조표는 아무 것도 없는 C를 포함했을 때 총 15개가 있습니다. 

 

 

조표를 사용하는 이유, 샾 플랫 등이 붙는 순서 등 개념 이해는 링크의 조표 항목을 참고하시고,

https://kumaju.tistory.com/34

 

조표(Key signature)

음계는 한 악곡의 체계를 만듭니다. 때문에 음계를 효율적으로 표기하는 것이 기보에는 매우 중요했습니다.  1. 조표는 왜 사용할까? 선율에는 더 잘 어울리는 음역이 있습니다. 또 인성과 악

kumaju.tistory.com

 

이 글은 조표를 보고 키(key)를 찾는 방법을 다룹니다. 

 

먼저 아무것도 없는 C key는 그냥 외웁니다. 

 

1. 샾(♯)계열

 

샾이 붙은 조표는 조표의 마지막 음의 반음 위가 해당 키입니다. 

 

2. 플랫(flat)계열

 

플랫이 붙은 조표는 조표의 마지막음의 완전4도 아래가 해당 키입니다. 

하지만 완전4도(?)가 처음에 어려울 수 있습니다. 

그래서 플랫이 하나 붙은 F는 무조건 외우고, 나머지는 조표의 마지막 바로 앞에 있는 음을 찾는 것입니다.   

 

F를 제외한 모든 플랫 계열은 모두 ♭이 붙는다는 것도 처음에 알아두면 좋습니다.

 

3. 악보에서 연습하기

 

다음은 다른 조로 기보된 악보입니다. 

 

 

 

기본 방법을 익힌 후에는 악보를 많이 접하면서 익숙해지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궁금한 사항은 쪽지나 댓글로 문의주세요!

728x90
반응형

'Music The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르별 빠르기(tempo)  (2) 2025.04.11
음이름(pitch names)과 계이름(syllable names)  (0) 2025.04.10
오선(staff)의 이해  (0) 2025.04.08
빠르기(tempo) ② 쉬운 버전  (0) 2025.04.07
음자리표(Clef)  (0) 2025.0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