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보이싱은 코드의 구성음을 분배하는 방법입니다.
코드는 실제 악곡에서 기본위치 뿐 아닌 다양한 형태로 사용됩니다.
보이싱은 코드 구성음의 수직적 배열로 간격, 순서, 중복 등을 포함합니다.
아래 악보는 모두 C지만, 구성음의 배치가 다릅니다.
첫 번째 코드는 가깝게 배치되었고, 두 번째와 세번 째 코드는 더 넓게 배치되었습니다.
close position(밀집위치)은 코드가 옥타브를 넘지 않게 배치된 경우를 의미하며,
open position(개리위치)은 옥타브 이상으로 배치된 경우를 의미합니다.
728x90
반응형
'기초음악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화성음 ① Unaccented NCT 안티시페이션, 패싱톤, 네이버링 톤, 에샤뻬 (3) | 2025.05.01 |
---|---|
조 관계를 의미하는 표현들(관계조, 나란한조, 병행조, 딴 이름 한소리 조, 근친조) (3) | 2025.04.29 |
이명동음 Enharmonic equivalence (0) | 2025.04.29 |
잇단음표(Tuplet)의 이해 (0) | 2025.04.27 |
음악 용어(자주 사용 되는 수식어) (0) | 2025.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