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피아노 곡에는 특히 장식음이 많이 사용됩니다.
이는 특정 방식으로 음표를 연주하라는 기호인데 많이 사용되는 장식음은 다음과 같습니다.
표기 | 이름 | 설명 | 연주 악보 |
![]() |
트릴(trill) | 지정된 음표와 그 위의 음표를 빠르게 연주합니다. 오른쪽 악보보다 천천히 연주해도 무방합니다. | ![]() |
![]() |
모르덴트 (mordent) |
지정된 음표와 지정된 음표의 아래 혹은 위를 빠르게 교대해 연주합니다. 다운 모르덴트는 아래 음표를 어퍼 모르덴트는 위 음표를 빠르게 교대해 연주합니다. 가운데 줄이 있는 것이 어퍼 모르덴트입니다. |
![]() |
![]() |
턴(turn) | 지정된 음표의 위의 음, 지정된 음표, 지정된 음표 아래음표, 다시 지정된 음표를 연주합니다. 오시아악보 등으로 정확한 리듬과 방향을 지시하기도 합니다. |
![]() |
![]() |
아포지아투라 (appogiatura) |
작은 음표로 표시되며, 주요 음표보다 2도 높거나 낮은 음으로 주요 음표가 나오기 전 연주합니다. | ![]() |
![]() |
아차카투라 (acciaccatura) |
긴 아포지아투라의 짧은 변형으로 더 빠르게 연주됩니다. 사선을 표기하는 것이 그 특징입니다. | ![]() |
궁금한 사항은 댓글로 문의바랍니다!
728x90
반응형
'Music The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벌스 코러스 형식 ① 벌스와 코러스 (0) | 2025.04.04 |
---|---|
임시표(accidental) 읽는 법 (0) | 2025.04.03 |
박자표(time signature) (0) | 2025.04.03 |
반복기호 (0) | 2025.03.28 |
임시표 표기법 (0) | 2025.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