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기호는 음악의 구조를 더 쉽게 파악할 수 있게 해주는 편리한 표기입니다.
1. 도돌이표
도돌이표가 표기된 부분을 반복해 연주하라는 지시입니다.
도돌이가 곡의 처음에 적용될 때 앞 도돌이는 생략되기도 합니다.
간혹 반복 횟수가 표시되기도 합니다.
1-2-3-4-1-2-3-4-1-2-3-4-1-2-3-4 순서로 연주하면 됩니다.
1,2가 표시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1-2-3-4-1-2-3-5 순서로 연주하면 됩니다.
2. 다카포(D.C)
다카포는 '처음부터'라는 뜻으로 이 표기를 만나면 처음으로 돌아가야 합니다.
다카포는 항상 피네(FIne)와 함께 사용합니다. Fine는 음악에서 '마침'을 뜻하는 말로 다카포를 적용한 후 마치는 지점입니다.
다카포는 형식적으로 구분되는 부분에 많이 사용되기 때문에 겹세로줄과 함께 사용됩니다.
1-2-3-4-1-2-3-4-5-6으로 연주하면 됩니다.
피네는 페르마타(𝄐)로 표기되기도 합니다.
역시 1-2-3-4-1-2-3-4-5-6으로 연주하면 됩니다.
3. 달세뇨(D.S)
달세뇨는 '세뇨로부터'라는 뜻으로 이 표기를 만나면 세뇨표기가 있는 마디로 가야합니다.
달세뇨 역시 겹세로줄, 피네와 함께 사용됩니다. 끝나는 지점이 필요하니까요.
1-2-3-4-3-4-5-6으로 연주하면 됩니다.
4. 코다(Coda)
코다는 '꼬리'에서 유래한 말로 마지막에 추가된 종결부를 의미합니다.
아래 악보로 설명하면, 순서대로 연주를 하다(1-2-3-4) 다카포(D.C.)를 만나면 곡의 시작으로 돌아와야 합니다. 하지만, 돌아와 반복할 때는 coda 기호가 있는 마디를 생략하고 연주해야 합니다. 조금 어렵다고 볼 수 있지만 아래 연주 순서를 보시면 어렵지 않습니다.
코다 역시 형식적으로 구분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겹세로줄과 함께 사용됩니다.
1-2-3-4-1-3-4-5-6으로 연주하면 됩니다.
4. 알 코다(al Coda)와 알 피네(al Fine)
D.C.al Coda: 처음으로 돌아가서 코다 생략하고 연주하시오
D.C.al Fine: 처음으로 돌아가서 FIne에서 끝내시오
D.S.al Coda: 세뇨로 돌아가서 코다 생략하고 연주하시오
D.S.al Fine: 세뇨로 돌아가서 FIne에서 끝내시오
일반적으로 al Coda와 al Fine는 생략해도 무방합니다.
그냥 D.S.와 D.C.를 쓰는 것과 동일합니다.
연주자에게 좀 더 친절하게 설명해주는 표기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궁금한 사항은 쪽지나 댓글 문의주세요!
'Music The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식음(Ornament) (0) | 2025.04.03 |
---|---|
박자표(time signature) (0) | 2025.04.03 |
임시표 표기법 (0) | 2025.03.27 |
빠르기(tempo) ① (0) | 2025.03.25 |
음계(scale)란 무엇인가? (0) | 2025.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