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임시표를 표기할 때 가장 많이 하는 질문 중 하나가 코드에 임시표를 붙일 때 임시표의 위치인데요.
지금은 사보프로그램을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임시표를 붙이는 규칙은 있습니다.
예를들어 다음 중 무엇이 올바른 기보인지 물어보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두 번째 마디가 올바르게 기보한 것입니다.
규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동시에 울리는 두 음이 5도 이하인 경우 아래 음의 임시표를 앞으로 당겨 표기
일직선으로 그리거나 윗 음의 임시표가 앞으로 나오면 틀립니다.
2. 화음이 6도 이상인 경우 일직선으로 그리기
일직선으로 그리는 음정은 논란의 여지가 조금있습니다.
왜냐면 전통적인 기보에서 6도부터 수직으로 그리지만, 대다수의 사보프로그램들이 7도 부터 수직으로 그리고 있기 때문입니다.
사보프로그램을 사용할 때는 신경을 쓰지 않아도 되지만, 직접 악보를 그릴 때는 참고하면 좋겠습니다.
3. 여러 음으로 구성된 코드의 경우 외성을 먼저 그리고 내성 그리기
대부분의 코드는 음이 세 개 이상입니다.
이때는 외성을 먼저 그리고, 내성에 있는 음들의 낮은 음부터 그려주면 됩니다.
방법을 외우기 보다는 악보를 자주 접하며, 또 직접 악보를 그리며 익히는게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궁금한 사항은 문의바랍니다!
728x90
반응형
'Music The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박자표(time signature) (0) | 2025.04.03 |
---|---|
반복기호 (0) | 2025.03.28 |
빠르기(tempo) ① (0) | 2025.03.25 |
음계(scale)란 무엇인가? (0) | 2025.03.10 |
조율(tuning) (0) | 2025.0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