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분류 전체보기 86

2. 음정(Interval)①-완전음정과 장음정

음정은 음의 간격 혹은 거리입니다.음정은 코드 이론을 배우기 위해 꼭 거쳐야하는 과정입니다. 음정을 계산하는 시작은 아래 음에서 위의 음까지 음을 세는 것입니다. 아주 쉽습니다. 그런데 이런 문제가 발생합니다. 다음 악보는 모두 5도인데 그 소리가 다릅니다. 그래서 각 5도에 다른 이름이 필요합니다. 음정의 이름을 구분하는 기준은 메이저 스케일입니다. 메이저 스케일의 구조를 이용해 이름을 구분하는 것입니다. * 음정을 온음과 반음의 개수로 계산하는 경우도 있으나, 제대로 기억하고 활용하기 위해서는 메이저 스케일로 이해하는 것이 좋습니다. 메이저 스케일을 기반으로 시작음을 밑음으로, 스케일의 다른 음들을 윗 음으로 두었을 때의 성질을 외우는 것입니다. 메이저 스케일은 구조가 항상 일정해야하기 때..

MuseScore ⑳ 발음구별 기호가 포함된 가사 입력(독일어 가사, 프랑스어 가사)

발음구별 기호가 포함된 독일어나 프랑스어 가사는 알파벳만으로 입력할 수 없습니다. 움라우트 같은 발음구별 기호를 입력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가사 입력을 위해 음을 선택하고 Control + L을 눌러 가사를 입력합니다. ö를 입력하기 전에 가사를 입력하던 상태에서  속성 → 특수 문자 삽입을 클릭합니다.   이제 특수문자 창에서 원하는 발음구별 기호를 입력하면 됩니다. 뮤즈스코어의 대부분의 기능이 기존 사보프로그램보다 간편한 것에 비해 이 기능은 조금 불편하긴합니다.  궁금한 사항은 쪽지나 댓글 문의주세요!

MuseScore 2025.04.03

임시표(accidental) 읽는 법

임시표는 말 그대로 한 마디 안에서만 임시로 효력이 있는 표기입니다. 1. 임시표의 종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임시표의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플랫(flat): 내림표. 음정을 반음 낮추어 연주합니다. 내추럴(natural): 제자리표. 샾이나 플랫을 취소합니다. 샾(sharp): 올림표. 음정을 반음 높여 연주합니다. 더블샾(double sharp): 겹내림표. 음정을 두개 반음 높여 연주합니다. 더블플랫(double flat): 겹내림표. 음정을 두개 반음 낮추어 연주합니다. 2. 악보에서 적용 임시표가 한 마디에서만 효과가 있다는 것은 잘 알고 있지만, 같은 음역대에 있는 음에만 유효하다는 것은 간과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음 악보에서 네 번째 비트의 C는 #을 붙이면 틀립니다. 친절한 악..

Music Theory 2025.04.03

장식음(Ornament)

피아노 곡에는 특히 장식음이 많이 사용됩니다. 이는 특정 방식으로 음표를 연주하라는 기호인데 많이 사용되는 장식음은 다음과 같습니다.  표기이름설명연주 악보트릴(trill)지정된 음표와 그 위의 음표를 빠르게 연주합니다. 오른쪽 악보보다 천천히 연주해도 무방합니다. 모르덴트(mordent)지정된 음표와 지정된 음표의 아래 혹은 위를 빠르게 교대해 연주합니다. 다운 모르덴트는 아래 음표를 어퍼 모르덴트는 위 음표를 빠르게 교대해 연주합니다. 가운데 줄이 있는 것이 어퍼 모르덴트입니다. 턴(turn)지정된 음표의 위의 음, 지정된 음표, 지정된 음표 아래음표, 다시 지정된 음표를 연주합니다. 오시아악보 등으로 정확한 리듬과 방향을 지시하기도 합니다. 아포지아투라(appogiatura)작은 음표로 표시되며, ..

Music Theory 2025.04.03

박자표(time signature)

박자는 기준이 되는 비트와 한 마디 안에 들어가는 비트의 개수를 지시한 것입니다.음악의 규칙을 이해하고 패턴을 인식할 수 있게 해주는 중요한 장치입니다.  박자표는 마치 분수처럼 표기되는데요.아래 숫자는 기준이 되는 비트, 위 숫자는 비트의 개수를 의미합니다.  한 마디에 들어가는 리듬은 반드시 박자표에 지시된 것에 맞게 표기되어야 합니다.  그래서 처음 악보를 읽을 때 박자표를 보고, (4/4박자의 경우) 1, 2, 3, 4 카운트를 하고 노래를 해야 합니다. 또한 리듬감을 키우기 위해서도 박자표에 나타난 기본 비트를 기반으로 리듬을 이해해야 합니다.  음악 공부와 연습 방법 등 궁금한 사항은 쪽지나 댓글 문의주세요!

Music Theory 2025.04.03

MuseScore ⑲ 슬래시 악보 만들기

재즈와 대중음악 악보 중 슬래시로 표시된 악보가 있습니다. 즉흥연주자들이 자유롭게 연주할 수 있도록 하기위한 기보인데요.입력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비트 기보 연주자가 자유롭게 연주하도록 하기 위해 비트만 표기한 경우입니다. 표기하고 싶은 마디를 선택한 후, 도구 → Fill with slashes를 클릭하면 슬래시가 적용됩니다.   2.  리듬이 표기된 슬래시 기보 보이싱은 자유롭지만, 특정 리듬을 기보하고 싶을 때 사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위의 악보를 만들기위해 음높이는 상관없이 리듬만 기보하면 됩니다. 이후 도구 → Toggle rhythmic slash notation을 선택하면 입력한 음표가 슬래시로 바뀝니다.   궁금한 사항은 댓글로 문의주세요!

MuseScore 2025.04.02

MuseScore ㉒ 모둠 쉼표 만들기

여러 악기가 연주할 때 어떤 악기는 잠깐 쉬어야 할 때가 있습니다. 한 두마디 정도는 괜찮지만, 여러 마디를 쉴 경우 악보에 빈마디가 너무 많아집니다.   이때 사용하는 것이 모둠 쉼표(multimeasure rest)입니다.  모둠쉼표를 만들기 위해 Shift + Command + M을 누르면 빈 마디가 모둠 쉼표로 바뀝니다.   모둠 쉽표는 두 마디 이상의 빈 마디에 모두 적용되기 때문에 악보를 모두 만들고 적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궁금한 사항은 댓글 남겨주세요!

MuseScore 2025.04.02

1. 장음계(major scale)

음계는 한 악곡의 체계를 만들기 위해 사용된 음들이 계단식으로 나열된 것입니다. 조금 정신없지만, 위 선율만을 얘기했을 때 6음음계입니다.즉 음계는 악곡에 사용되는 음들을 일렬로 나열한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가장 많이 사용되고 또 중요한 음계는 메이저 스케일(장음계)입니다. 때문에 처음부터 다양한 음계를 외우기 보다는 메이저 스케일을 제대로 이해한 후 하나씩 이해하는 것이 훨씬 효율적입니다. • 메이저 스케일이란 무엇인가? 인접한 두 음의 음정이 3-4, 7-8은 반음이고 나머지는 온음인 음계를 메이저 스케일이라고 합니다. • 온음과 반음? 두 음이 인접했을 때 그것을 반음이라고 합니다. 두 음이 두 개의 반음을 포함할 때 혹은 그 사이에 음 하나를 포함할 때 그것을 온음이라고 합니다. C-D..

MuseScore ⑰ 타브 악보 만들기, 기타 악보 만들기

오늘은 기타에 많이 사용되는 타브(tableture) 악보 입력법을 알아보겠습니다. 타브 악보는 운지를 기반으로 하는 기보이기 때문에 오선보와는 또 다른 장점이 있습니다.  1. 악기 선택 먼저 발현악기 - 어쿠스틱 기타(TAB)를 선택합니다. 저는 어쿠스틱 기타를 선택했지만, 다른 악기를 원하시면 (TAB)가 표기된 악기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확인을 누르면 다음의 악보가 만들어집니다.  2. 직접 입력 N을 눌러 입력모드로 전환하면 파란색 커서가 나타납니다.  타브 악보를 잘 이해하고 있는 경우 화살표(↑↓)를 이용해 위치를 이동시키며 숫자를 입력하면 됩니다.  다음 악보를 입력하려면,  ① 입력하고 싶은 마디를 선택한 후, N을 눌러 입력모드로 전환해 커서 만들기② 화살표를 이용해 숫자를 입력하고 ..

MuseScore 2025.03.31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