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분류 전체보기 88

MuseScore ⑭ 선율 복사, 코드/가사 복사

Musescore에는 많은 단축키가 있지만 그 중에서도 특히 많이 사용하게되는 단축키와 기능 모음입니다. 1. 선율 복사 일반적인 복사/붙여넣기도 가능하지만, 연속으로 반복되는 경우 단축키 R(repeat)이 더 편리합니다.  위의 악보를 입력하기 위해 두 마디를 입력하고, 두 마디를 선택한 후 R을 누르면 더 쉽게 입력할 수 있습니다.  2. 코드/가사 복사 시벨리우스의 경우, 필터 기능으로 악보에 입력된 여러 정보 중 일부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Musescore에서 그 기능을 찾지 못했습니다.  핵심은 몇 마디에 걸쳐 지속되는 코드/가사 정보를 선택하는 것입니다.선택 방법은 시작 부분을 클릭하고, shift를 누른 상태에서 마지막 부분을 클릭하는 것입니다. 이후 붙여넣고 싶은 음표를 ..

MuseScore 2025.03.12

음계(scale)란 무엇인가?

음계는 음악을 이해하는 시작입니다. 우리가 듣는 거의 모든 음악은 음계에서 출발합니다.  음계는 한 악곡에 중심적으로 사용되는 음들을 계단식으로 나열한 것입니다. 우리가 하나의 악곡이라고 느낄 수 있는 체계를 제공하는 것이죠. 다음은 우리에게 친숙한 작은별입니다. 선율에 사용된 음은 총 6개입니다.  선율에 6개의 음 이외에는 사용되지 않았습니다.이 곡이 단선율 곡이라면 이곡은 6음음계입니다. 하지만, 이 선율은 반주가 있습니다.반주에는 한 음이 추가되는데 바로 B음이 추가됩니다.그래서 이 음악에 사용된 음은 총 7개 7음음계입니다.   이처럼 한 악곡에는 주로 사용되는 음이 정해지는데 그것을 계단식으로 나열한 것이 바로 음계입니다.  한 옥타브 안에서 12개의 음이 있지만, 특정한 의도가 있는 예술음악..

기초음악이론 2025.03.10

조율(tuning)

음악을 배우기 시작할 때 가장 먼저 이해해야하는 것이 조율과 음계입니다. 오늘은 가장 쉽고 실용적으로 그 조율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조율은 음악에 사용할 음들을 정하는 것입니다. 기준 음과 각 음들 사이 간격을 정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세상에는 정말 무수히 많은 음고(pitch)가 존재합니다. 이것은 마치 색깔과 같습니다. 아래 그림은 빨간색의 일부만 가지고 왔지만 정말 많습니다. 저처럼 색에 둔한 사람은 #ff1e1e와 #f90000의 차이를 설명하는게 어려울 정도입니다.   음고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거의 무한대에 가까운 음고가 존재하지만, 일반 사람들에게 유의미하게 들릴 수 있는 음들은 생각보다 많지 않습니다. 그래서 음악에서는 수 많은 음들 중에 몇 개의 음을 뽑아 사용합니다. ..

기초음악이론 2025.03.08

MuseScore ⑬ 숫자저음, 통주저음 만들기

화성 문제를 풀 때 많이 만났던 악보입니다. 바로 숫자저음이 있는 악보인데요.Muse Score에서는 정말 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  1. 입력 방법 숫자저음을 붙이고 싶은 음을 선택한 후, 단축키 Command + G를 누릅니다.이후 숫자를 입력합니다.숫자가 두 개 이상인 경우 하나를 누르고 Return을 누르면 커서가 아래 줄로 이동합니다.  2. 이동 이동은 space bar를 누르면 됩니다.기본적인 이동은 입력된 음에 맞게 입력됩니다. 그래서 마디2처럼 한 음표에 두 개 이상의 숫자가 들어갈 때는 다른 명령어가 필요합니다.   한 음표에 두 개 이상의 숫자가 필요한 경우, space bar 대신, Command 1을 누른 상태에서 숫자 1을 누르면 조금씩 커서가 이동합니다.원하는 위치로 커서가 이..

MuseScore 2025.03.08

MuseScore ⑫ 마디 그루핑, 보표 간격 올리기/내리기

1. 마디 그루핑 악보 작업을 하다보면, 한 줄에 들어가는 마디를 수동으로 변경시키고 싶은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들어 아래 악보는 한 마디에 들어가는 음표가 많아 한 줄에 두 마디가 들어가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하지만, 다양한 의도로 한 줄에 세 마디를 넣고 싶을 때가 있습니다.그때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한 줄에 들어가는 마디 수를 변경하고 싶은 경우,먼저 한 줄에 넣고 싶은 마디를 모두 선택한 후, 팔레트의 레이아웃에서 Measure Grouping을 선택하면 됩니다. 2. 보표 간격 올리기/내리기 악보가 짧은 경우, 오선 간 간격이 너무 멀어 수정하고 싶을 때가 있습니다. 그럴 때 사용하는 것이 보표 간격 올리기/내리기 입니다.    줄이고 싶은 아래 쪽 오선을 선택한 후, 레이아웃의 보표 간격 ..

MuseScore 2025.03.07

MuseScore ⑪ 크로스 스태프 만들기

오늘은 크로스 스태프(Cross Staff) 만들기 입니다! 오랜만에 정말 좋아하는 Bach의 평균률 곡집을 꺼냈습니다.마디5 왼손에 크로스 스태프가 나타납니다.  마디5를 입력하기 위한 단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정확한 음 입력: 크로스 스태프가 적용되지 않은 음(note)을 정확하게 입력합니다.2. 오른손 기둥 방향 변경: 기둥방향을 변경하고 싶은 음을 선택한 후, X를 눌러 기둥 방향을 위로 올려줍니다.3. 이동시킬 음 선택: 왼손에서 높은음자리표로 이동시킬 음을 선택한 후, Shift + Command + ↑를 눌러 이동시킵니다. * 쉼표의 높이는 선택 후 화살표를 이용해 쉽게 변경 가능합니다.  궁금하신 사항은 댓글이나 쪽지 주시면 답변해 드리겠습니다!!

MuseScore 2025.03.06

머니코드란 무엇인가? ①

머니코드는 한 마디로 돈이 되는 코드입니다. 성공한 대중음악에 많이 나타나는 코드 진행을 말하는 것이죠. 가장 대표적인 진행이 파헬벨의 캐논변주곡인데그 외에도 다양한 진행이 있습니다.  오늘은 두 종류의 진행을 살펴보겠습니다. 1. I - V - vi - iii - IV - I - ii - V 머니코드치고는 길이가 긴 편입니다.그래서 예전에 주로 많이 사용되었고, 변형된 형태도 많습니다.    * 전위가 사용된 곡도 있지만, 사운드의 기능이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기본 형태에 맞게 표기했습니다. 2. I - iii - vi - IV 요즘에도 자주 사용되는 진행입니다.    리듬이 중요한 최근 곡들에는 짧은 길이의 머니코드가 많이 사용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다음에는 또 다른 머니코드와 악보로 돌아오겠..

Other Music Stories 2025.03.06

MuseScore ➉ 첫 마디 들여쓰기 적용 및 해제, 빈 마디 숨기기

사용하다 보면 궁금한 입력 이외에 악보 편집에 필요한 내용을 준비했습니다.  1. 첫 마디 들여쓰기 좌측 텝의 속성에서 스타일 설정을 선택합니다. 첫 번째 메뉴인 악보에서 첫 번째 보표에 들여쓰기 사용 체크 혹은 해제를 통해 첫 마디 들여쓰기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2. 빈 보표 숨기기 총보 작업에서 사용된 악기의 변화가 많을 때, 사용되지 않는 악기는 그리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것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악보를 다 완성한 후, 단 안의 빈 보표 숨기기를 적용하면 됩니다.보통 첫 번째 단의 경우, 곡에 사용되는 악기를 다 보여주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숨기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궁금하신 사항은 댓글이나 쪽지 주시면 답변해 드리겠습니다!!

MuseScore 2025.03.05

Music Texture

텍스처는 모든 예술을 더 흥미롭게 만듭니다. 음악의 텍스처 역시 다양한 요소가 결합된 결과물로 전반적인 사운드의 품질을 결정합니다.  여러 종류의 텍스처가 있지만, 오늘은 크게 세 종류의 텍스처를 살펴보겠습니다.  1. Monophony 반주 없이 선율만 있는 음악입니다. 가장 유명한 모노포니는 Bach의 무반주 첼로 곡일 것입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H4wZuChnb6M 2. Homophony 하나의 중심 선율이 있고, 나머지 여러 성부가 비슷한 속도로 조화롭게 움직이는 음악입니다. 가장 원형에 가까운 예는 찬송가입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R1u4xWFOabI 3. Polyphony 독립적이거나 서로 모방하는 여러 선율..

기초음악이론 2025.03.05

MuseScore ⑨ 드럼악보 만들기

이 글을 4.5 이전 버전에서 드럼을 입력하는 방법입니다.4.5 이후 버전 입력은 다음 글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https://kumaju.tistory.com/73 MuseScore 4.5 퍼커션 패널, 드럼 입력(뮤즈스코어 새 기능)이번 버전에서 가장 변화가 많은 부분이라고 생각됩니다. 바로 드럼을 포함한 타악기 기보입니다. 이전 버전 입력은 다음을 참고하시면 됩니다.https://kumaju.tistory.com/9 MuseScore ⑨ 드럼악보 만들기kumaju.tistory.com 1. 악기 추가에서 드럼 선택하기 드럼은 음 높이가 아닌 각 악기의 리듬을 기보하기 때문에 note head의 모양이 음높이를 기보한 악기와 기보가 다릅니다. 때문에 악보를 설정할 때 드럼을 선택해야 수월하게 입력할..

MuseScore 2025.03.05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