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전체 글 111

조표(Key signature)

음계는 한 악곡의 체계를 만듭니다. 때문에 음계를 효율적으로 표기하는 것이 기보에는 매우 중요했습니다.  1. 조표는 왜 사용할까? 선율에는 더 잘 어울리는 음역이 있습니다. 또 인성과 악기 모두 좋은 소리를 낼 수 있는 음역이 있습니다. 이처럼 다양한 음역에서 동일한 체계를 유지하며 음악을 연주하기 위해 임시표가 필요합니다.  인접한 두 음의 음정이 3-4, 7-8은 반음이고, 나머지가 온음인 장음계를 C와 D에서 그렸습니다.   장음계라는 체계를 유지하기 위해 D의 경우 F와  C에 #이 붙어야 합니다.  조표는 이 임시표를 음자리표 다음에 그려 기보를 간단하게 만들어줍니다. 조표를 이용해 기보한 D key입니다.   조표를 사용할 때, 음 앞에 임시표를 기보한 것보다 음계를 이해하고 연주하기 수월합..

기초음악이론 2025.04.05

3. 음정(interval)②-단음정, 증음정, 감음정

음정에 대한 첫 글에서 메이저 스케일을 이용해 완전음정과 장음정을 살펴보았습니다. 이번에는 단음정, 증음정, 감음정을 알아보겠습니다. 1. 증음정(Augmented Interval) 완전음정과 장음정이 반음 커졌을 때 증음정이 됩니다. 아주 쉽습니다. 나중에는 개별 음정을 바로 볼 수 있지만, 처음에는 메이저 스케일을 생각하면서 계산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입니다. 2. 감음정(Diminished Interval) 완전음정이 반음 작아졌을 때 감음정, 장음정이 반음 작아졌을 때 단음정이 됩니다. 그리고 단음정이 반음 작아졌을 때 감음정이 됩니다. 3. 겹증음정(Double Augmented Interval), 겹감음정(Double Diminished INterval) 증음정이 반음 커졌을 때 겹증,..

벌스 코러스 형식 ② 브릿지, 프리코러스, 프라이머리 브릿지

보통 송폼이라고 하는 벌스 코러스 형식은 대부분의 대중음악의 형식입니다.이름에서 알려주듯이 벌스와 코러스가 필수 요소입니다. 그래서 이 두 부분 만으로 음악이 완성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많은 악곡에는 추가 부분을 사용합니다. 그것이 바로 브릿지입니다. 브릿지는 선택입니다. 브릿지에는 두 종류가 있습니다. 하나는 트랜지셔널 브릿지, 다른 하나는 프라이머리 브릿지입니다. 1. 트랜지셔널 브릿지(Trangisionel bridge) 혹은 프리 코러스(Pre chorus) 트랜지셔널 브릿지는 벌스와 코러스를 이어주는 부분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행하는 혹은 과도기의 다리'라는 이름이 매우 적합합니다. 한편 프리코러스는 코러스 앞에 위치한다는 것에서 붙여진 이름으로 좀 더 직관적인 명칭이라고 할 수 있..

기초음악이론 2025.04.05

벌스 코러스 형식 ① 벌스와 코러스

음악에서 형식은 음악적 아이디어의 구조와 형태를 의미합니다.그래서 작편곡 분석 등에 있어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대중음악의 대표적 형식은 벌스 코러스 형식으로 거의 모든 노래들이 이 형식을 따릅니다. 1. 벌스(Verse) 악곡의 분위기와 조성(tonality), 전반적인 이미지, 감정 등 하고 싶은 이야기를 시작하는 부분입니다. 벌스는 일반적으로 반복되며 이때 가사는 변경됩니다. 코러스와 가장 큰 차이점입니다. 2. 코러스(Chorus) 곡의 주요 아이디어 혹은 후크를 포함하는 부분으로 가사에서도 주요 메시지 혹은 주제를 전달합니다. 백보컬이 추가되며, 텍스처가 두꺼워지는 부분이라는 의미로 붙여진 이름입니다.벌스와 달리 반복될 때 가사가 유지됩니다. 다음 악보는 가장 기본적인 벌스 코러스 형식을..

기초음악이론 2025.04.04

MuseScore ㉑ 빔 편집, 성악선율 기보

일반적인 악보의 경우, 4분음표 보다 짧은 음표(8분음표 16분음표 등)에는 빔을 사용합니다. 하지만 성악곡들은 특별한 의도가 있지 않은 경우, 빔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부드럽게 이어 부르는 등의 의도가 있을 때를 제외하고 음표를 하나씩 표기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빔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위의 악보를 입력하면 별도의 편집이 필요합니다. 편집하고 싶은 음을 선택한 후, 속성 → 빔 → 원하는 모양을 선택하면 빔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여러 음도 한 번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빔의 방향을 바꾸는 등의 편집 역시 쉽게 가능합니다. 궁금한 사항은 쪽지나 댓글 남겨주세요!

MuseScore 2025.04.04

2. 음정(Interval)①-완전음정과 장음정

음정은 음의 간격 혹은 거리입니다.음정은 코드 이론을 배우기 위해 꼭 거쳐야하는 과정입니다. 음정을 계산하는 시작은 아래 음에서 위의 음까지 음을 세는 것입니다. 아주 쉽습니다. 그런데 이런 문제가 발생합니다. 다음 악보는 모두 5도인데 그 소리가 다릅니다. 그래서 각 5도에 다른 이름이 필요합니다. 음정의 이름을 구분하는 기준은 메이저 스케일입니다. 메이저 스케일의 구조를 이용해 이름을 구분하는 것입니다. * 음정을 온음과 반음의 개수로 계산하는 경우도 있으나, 제대로 기억하고 활용하기 위해서는 메이저 스케일로 이해하는 것이 좋습니다. 메이저 스케일을 기반으로 시작음을 밑음으로 두고, 스케일의 다른 음들을 윗 음으로 두었을 때의 성질을 외우는 것입니다. 메이저 스케일은 구조가 항상 일정해야하..

MuseScore ⑳ 발음구별 기호가 포함된 가사 입력(독일어 가사, 프랑스어 가사)

발음구별 기호가 포함된 독일어나 프랑스어 가사는 알파벳만으로 입력할 수 없습니다. 움라우트 같은 발음구별 기호를 입력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가사 입력을 위해 음을 선택하고 Control + L을 눌러 가사를 입력합니다. ö를 입력하기 전에 가사를 입력하던 상태에서  속성 → 특수 문자 삽입을 클릭합니다.   이제 특수문자 창에서 원하는 발음구별 기호를 입력하면 됩니다. 뮤즈스코어의 대부분의 기능이 기존 사보프로그램보다 간편한 것에 비해 이 기능은 조금 불편하긴합니다.  궁금한 사항은 쪽지나 댓글 문의주세요!

MuseScore 2025.04.03

임시표(accidental) 읽는 법

임시표는 말 그대로 한 마디 안에서만 임시로 효력이 있는 표기입니다. 1. 임시표의 종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임시표의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플랫(flat): 내림표. 음정을 반음 낮추어 연주합니다. 내추럴(natural): 제자리표. 샾이나 플랫을 취소합니다. 샾(sharp): 올림표. 음정을 반음 높여 연주합니다. 더블샾(double sharp): 겹내림표. 음정을 두개 반음 높여 연주합니다. 더블플랫(double flat): 겹내림표. 음정을 두개 반음 낮추어 연주합니다. 2. 악보에서 적용 임시표가 한 마디에서만 효과가 있다는 것은 잘 알고 있지만, 같은 음역대에 있는 음에만 유효하다는 것은 간과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음 악보에서 네 번째 비트의 C는 #을 붙이면 틀립니다. 친절한 악..

기초음악이론 2025.04.03

장식음(Ornament)

피아노 곡에는 특히 장식음이 많이 사용됩니다. 이는 특정 방식으로 음표를 연주하라는 기호인데 많이 사용되는 장식음은 다음과 같습니다.  표기이름설명연주 악보트릴(trill)지정된 음표와 그 위의 음표를 빠르게 연주합니다. 오른쪽 악보보다 천천히 연주해도 무방합니다. 모르덴트(mordent)지정된 음표와 지정된 음표의 아래 혹은 위를 빠르게 교대해 연주합니다. 다운 모르덴트는 아래 음표를 어퍼 모르덴트는 위 음표를 빠르게 교대해 연주합니다. 가운데 줄이 있는 것이 어퍼 모르덴트입니다. 턴(turn)지정된 음표의 위의 음, 지정된 음표, 지정된 음표 아래음표, 다시 지정된 음표를 연주합니다. 오시아악보 등으로 정확한 리듬과 방향을 지시하기도 합니다. 아포지아투라(appogiatura)작은 음표로 표시되며, ..

기초음악이론 2025.04.03

박자표(time signature)

박자는 기준이 되는 비트와 한 마디 안에 들어가는 비트의 개수를 지시한 것입니다.음악의 규칙을 이해하고 패턴을 인식할 수 있게 해주는 중요한 장치입니다.  박자표는 마치 분수처럼 표기되는데요.아래 숫자는 기준이 되는 비트, 위 숫자는 비트의 개수를 의미합니다.  한 마디에 들어가는 리듬은 반드시 박자표에 지시된 것에 맞게 표기되어야 합니다.  그래서 처음 악보를 읽을 때 박자표를 보고, (4/4박자의 경우) 1, 2, 3, 4 카운트를 하고 노래를 해야 합니다. 또한 리듬감을 키우기 위해서도 박자표에 나타난 기본 비트를 기반으로 리듬을 이해해야 합니다.  음악 공부와 연습 방법 등 궁금한 사항은 쪽지나 댓글 문의주세요!

기초음악이론 2025.04.03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