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2025/04 65

MuseScore 4.5 새 기능 소개

3월 14일 MuseScore 새 버전이 나왔습니다.계속 구 버전을 쓰다 오늘 업뎃을 하고 보니 변화가 제법 많아 글을 쓰게 됐습니다. 기능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인풋 듀레이션 모드 입력 시 듀레이션으로 입력할 수 있는 모드가 제공됩니다.Finale 사용자를 위한 입력입니다. 2. 다이나믹 입력 단축키 사용으로 다이나믹 입력이 훨씬 쉬워졌습니다. 3. 타악기 입력 제가 보기에 이전 버전과 비교했을 때 가장 많은 변화가 크다고 생각되는 부분입니다. 특히 마우스를 사용한 입력이 가능해졌습니다. 4. 새로운 텍스트기능 추가 또한 피날레의 유용한 기능이 추가되었다고 하는데 제가 피날레를 사용한지 좀 오래되어서 그게 뭔지 잘 모르겠습니다.추후 정리해서 올리겠습니다. 궁금한 사항은 ..

MuseScore 2025.04.15

조표(key dignature) 보는 법 - 단조(minor key)

조표는 메이저 스케일의 체계에 따라 만들어진 것입니다. 때문에 마이너 스케일로 조표의 체계를 이해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마이너 스케일은 메이저 스케일과의 관계로 이해할 수 있기 때문에 마이너의 시작음을 보고 조표를 찾는 것은 가능합니다.  마이너 스케일은 세 종류가 있지만 가장 기본 형태는 메이저 스케일의 여섯 번째 음을 시작음 똑같은 구성음으로 이루어집니다.   이런 이유에서 단조의 세 번째 음에 붙는 조표가 단조의 조표가 됩니다. 글로만 이해하려고 하면 헷갈릴 수 있기 때문에 예시로 설명하겠습니다.    메이저 조표를 이해하고 있다면 어렵지 않게 단조의 조표도 이해할 수 있습니다.  궁금한 사항은 쪽지나 댓글로 문의주세요!

기초음악이론 2025.04.14

장음계(major scale)와 단음계(minor scale) ①

음계는 한 악곡에 주로 사용되는 음들을 계단식으로 나열한 것입니다. 음계를 구성하는 음들의 관계에 따라 그 종류가 나뉩니다. 보통 인접한 두 음의 음정 관계로 설명합니다.   장음계는 인접한 두 음 중 3-4와 7-8이 반음이고 나머지가 온음인 음계이며,단음계는 2-3과 6-7이 반음인 음계입니다. 참고로 두 스케일은 parallel key(병행조)입니다.  하지만 이 관계를 계산한다기 보다 각 음계 자체가 가진 울림을 통해 장음계와 단음계를 이해하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음계는 한 악곡의 재료로 선율 뿐 아닌 코드 반주로도 사용됩니다.  다음은 비슷한 선율을 장조 단조로 그린 악보입니다.    음계의 1,3,5음은 키(key)를 인식하는데 가장 중요한 요소입니다.  궁금한 사항은 쪽지나 댓글 문의주세요!

기초음악이론 2025.04.13

하프 타임 필(Half-time feel)과 더블 타임 필(Double-time feel)

연주나 편곡을 하며 만나게 되는 용어 중 하프 타임, 더블 타임 필, 더블 타임은 종종 헷갈립니다. 이름이 비슷하기도 하지만, 서로 연관이 있기 때문에 더 그럴 수 있습니다. 그래서 하나씩 그 특징을 살펴보겠습니다.  1. Haf-time feel 템포는 동일하지만, 리듬의 느낌(rhythmic feel)이 느려진 것입니다.그루브가 더 무겁고, 넓고, 또 극적입니다. 락의 브레이크다운, 힙합 비트, 메탈, 트랩 등에 사용됩니다.   2. Double-time feel Half time의 반댓말로, 템포는 동일하지만 리듬의 느낌이 빨라진 것입니다. 드럼은 더 활기차고, 긴박하며 강렬한 느낌을 줍니다. 재즈 솔로, 팝의 빌드업, 가스펠의 샤우트 섹션, EDM의 트롭 등에 사용됩니다.   * half-time..

기초음악이론 2025.04.12

MuseScore ㉗ 겹점음표(double dotted note) 입력하기

오늘은 겹점음표 입력법과 함께 사용자지정 툴바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프로그램 화면 상단에는 음표와 임시표 등 입력 관련 아이콘이 있습니다. 그런데 겹점 표기는 찾을 수 없습니다. 그때 사용하는 것이 사용자지정 툴바입니다. 사용방법은 사용자지정 툴바를 오른 클릭한 후, 원하는 기능을 활성화 시키면 됩니다. 아이콘을 클릭하면 활성/비활성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 지정 툴바에는 점음표 이외에도 다양한 기능이 있으니, 한번 확인해보시면 작업 속도를 높일 수 있을 것입니다. 궁금한 사항은 쪽지와 댓글 남겨주세요!

MuseScore 2025.04.12

9. 7화음(7th chord)② 세븐 서스포, 식스, 마이너 식스 코드

오늘 다룰 7화음은 기본적인 코드에서 변형된 형태입니다. 지난 시간 7화음을 잘 이해하셨다면 아주 쉽게 이해할 수 있는 chord입니다. 바로 7(sus4), 6, m6입니다.  1. 7(sus4) sus4는 이미 triad에서 다루었습니다. 기본 구조에서 변형되었기 때문에 sus4는 괄호 안에 표기합니다. 2. 6 & m6 6th chord는 다른 7화음과 구조가 다르지만, 통상적으로 7th chord로 분류합니다.그 이유는 그 기능이 비슷하기 때문입니다.전위형이나 텐션을 이해하고 있다면 잘 이해할 수 있지만, 아직 이해가 가지 않는다면 잠깐 무시해도 좋습니다.일단 6th chord 자체를 이해하는 것으로도 충분합니다.  6th chord는 이름에서 알려주듯이 트라이어드와 6도 음정으로 이루어진 cho..

장르별 빠르기(tempo)

음악에서 빠르기는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예외는 항상 있지만, 대부분의 인기 장르는 특정 빠르기 범위를 따릅니다.다음은 다양한 장르와 스타일에 많이 나타나는 템포의 범위입니다. Genre / StyleBPM 범위설명Ballad60-80 BPM느리고, 감정적 노래; 종종 half time feel 사용Pop85-100 BPM일반적인 음악; 그루브(groove)의 강조Upbeat Pop / Dance Pop100=130 BPM활기차고, 빠른 느낌R&B/Neo Soul75-95 BPM편안하지만 그루브한 리듬, 싱코페이션된 비트의 사용Hip-Hop (Old School)80-100 BPMClassic boon-bap 스타일Hip-Hop (Trap)130–150 BPM(half-time, 65–75 BPM)Do..

기초음악이론 2025.04.11

MuseScore ㉖ 장식음에 임시표 추가하기

지난 글에서는 모르덴트 등에 임시표를 추가하는 방법을 다루었는데요.이번 글에서는 턴에 임시표를 추가하는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장식음의 기본적인 입력 방법은 음표를 선택한 후, 팔레트 → 장식음에서 턴을 클릭하는 것입니다.  그럼 다음과 같이 입력되고 연주될 것입니다. 물론 빠르기는 다를 수 있습니다.  그런데 다음과 같이 입력하고 싶을 때가 있습니다. 이 때 속성을 이용하면 됩니다. 턴을 선택하고, 속성을 가서 기준(악보에서는 D)음과 추가되는 음의 관계를 생각해서 입력하면 됩니다.   다른 장식음 역시 유사한 방법으로 적용할 수 있습니다.  궁금한 사항은 쪽지나 댓글로 남겨주세요!

MuseScore 2025.04.10

8. 7화음(7th chord)① 메이저 세븐, 마이너 세븐, 세븐, 하프디미니시 세븐

1. 7화음의 구조 7화음은 3화음에 7도 음정이 추가된 화음입니다. 기본 형태는 3도씩 쌓아 만듭니다. 가장 아래의 음을 근음(root)이라하고, 나머지를 각각 3음(3rd), 5음(5th), 7음(7th)이라 합니다. 2. 다이아토닉 7화음 다이아토닉 7화음은 한 음계의 구성음으로만 만들어진 7화음을 의미합니다.다이아토닉에 관한 설명은 앞으로 다룰 예정이지만, 궁금하시다면 다음 악보를 참고하시면 됩니다.바로 C key에서 다이아토닉 7화음을 그린 것입니다. 메이저 키의 다이아토닉 7화음에는 네 종류가 있습니다.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 모든 코드의 root를 동일하게 적용했기 때문에 C key의 다이아토닉이 아닙니다. 이 부분이 이해가 되지 않으시면 일단 넘어가도 됩니다. 다음 코드가 가장 많이 ..

음이름(pitch names)과 계이름(syllable names)

음을 읽을 때, 음이름과 계이름을 구분하지 않고 사용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오늘은 개념을 명확하게 정리했습니다. 음이름은 절대적인 음의 이름입니다.어떤 상황에서든 변하지 않는 이름인거죠.'C, D, E, F, G, A, B' 혹은 '다, 라, 마, 바, 사, 가, 나'가 음이름입니다. 반면 계이름은 상대적인 음의 이름 즉 음계(scale)에서의 이름입니다. 즉 음계 혹은 조(key)가 정해졌을 때 갖게되는 이름입니다. '도,레,미,파,솔,라,시,도'가 계이름입니다. 다음은 나비야 선율의 음이름과 계이름입니다. 궁금한 사항은 쪽지와 댓글 남겨주세요!

기초음악이론 2025.04.10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