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2025/04 65

7. 3화음(triad)③ 연습

화성을 공부하기 위해 책을 구매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열심히 공부하고 이해했다고 생각했는데도 내가 공부를 잘 하고있는지 잘 모르겠다는 얘기를 많이 합니다. 그 이유는 공부가 너무 이론에 치우쳤기 때문입니다. 이론을 익힌 후에는 악기 연습, 악보 분석 등을 통해 응용하는 시간을 가져야 진짜 내 것이 됩니다.좋아하는 노래 혹은 친숙한 노래의 악보로 공부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또 그래야만 재미있게 공부를 지속할 수 있습니다. 정말 많은 연습 방법이 있지만, 간단한 연습 방법 하나를 추천합니다. 같은 조(key)의 쉬운 악보를 연습하는 것입니다! 너무 많은 코드가 있는 것 같지만, 알고보면 한 악곡에서 사용되는 코드는 한정적입니다. 그래서 하나의 key를 중심으로 연습하는 것이 좋습니다. 가장 쉬운 ..

MuseScore ㉕ 하나의 오선에 다른 리듬의 음표 입력하기

피아노 악보 중 오선에 리듬이 다른 음표를 만날 때가 있습니다. 이 때 이용하는 것이 성부입니다. 하나의 오선에 기둥이 나뉘어 표기될 때 사용하는 것입니다. 일반 선율을 입력할 때 항상 1성부를 사용합니다. 2성부를 입력하기 위해 2성부를 선택해야 합니다. 그런데 음을 선택한 상태에서 2성부를 클릭하면 1성부의 음들이 모두 2성부로 전환됩니다. 이것도 나름 쓸모가 있지만, 위의 악보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잘못된 방법입니다. 음표를 선택하지 않고, 2성부를 선택한 후, 2성부를 입력하고 싶은 마디 시작 부분에 적당한 음표 혹은 쉼표를 입력합니다.2성부가 필요한 부분은 마디 마지막 8분음표입니다. 그래서 원하는 음표 전에 빈 공간을 쉼표로 채웁니다.이후, 불필요한 쉼표는 V를 눌러 숨깁니다. ..

MuseScore 2025.04.09

조표(key signature) 보는 법 - 장조(major key)

조표는 한 악곡에서 사용되는 음계를 알려주는 표시입니다. 조표는 아무 것도 없는 C를 포함했을 때 총 15개가 있습니다. 조표를 사용하는 이유, 샾 플랫 등이 붙는 순서 등 개념 이해는 링크의 조표 항목을 참고하시고,https://kumaju.tistory.com/34 조표(Key signature)음계는 한 악곡의 체계를 만듭니다. 때문에 음계를 효율적으로 표기하는 것이 기보에는 매우 중요했습니다. 1. 조표는 왜 사용할까? 선율에는 더 잘 어울리는 음역이 있습니다. 또 인성과 악kumaju.tistory.com 이 글은 조표를 보고 키(key)를 찾는 방법을 다룹니다. 먼저 아무것도 없는 C key는 그냥 외웁니다. 1. 샾(♯)계열 샾이 붙은 조표는 조표의 마지막 음의 반음 위가 해당 키입..

기초음악이론 2025.04.09

오선(staff)의 이해

1. Staff 오선(staff)은 음높이와 리듬을 기보할 수 있는 다 섯개의 선입니다. 피아노 같은 악기는 음 높이를 나타내며, 타악기의 경우 특정 위치는 특정 악기를 의미합니다.   2. Ensemble Staves 여러 악기가 동시에 연주할 때 오선의 왼쪽에 수직선을 그려 표기합니다. 특히 브라켓(bracket)은 의미있는 악기 그룹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3. Grand Staff 한 명의 연주자가 연주하는 내용이 두 개의 오선에 기보되었을 때 사용하는 것을 Grand staff라고 합니다. 대표적인 악기는 피아노입니다. 보통 위쪽 오선은 오른손, 아래쪽 오선은 왼손으로 연주합니다.  궁금한 사항은 쪽지나 댓글로 문의주세요!

기초음악이론 2025.04.08

6. 3화음(triad)② 서스펜디드 코드

3화음의 기본 구조는 3도씩 쌓은 세 개의 음입니다. 하지만, 다른 구조의 코드도 사용됩니다. 바로 sus2와 sus4입니다.  서스(sus)는 '매달린' 혹은 '뜬'을 의미하는 suspended를 줄여 표현한 것입니다. 3도 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뜬 느낌(조금은 덜 안정된)이 발생합니다. 보통 서스펜디드 코드는 서스 코드라고 합니다.과거 이 매달린 음들은 특정 음으로 해결되어야 했지만, 지금은 훨씬 자유롭게 제약없이 사용됩니다.  잊지 말아야 할 것 은 서스 코드의 구성음이 메이저 스케일의 구성음과 동일하다는 것입니다.  기본 3화음을 익힐 때 메이저 스케일을 기반으로 이해했던 것처럼 서스 코드 역시 메이저 스케일과 함께 이해하는 것이 좋습니다.  궁금한 사항은 댓글 남겨주세요!

MuseScore ㉔ 팔레트 추가하기(brace, braket)

뮤즈스코어의 편리한 기능 중 하나는 팔레트입니다.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많이 사용하는 표기들이 팔레트에 보입니다. 악기들을 묶어서 표현하는 brace와 bracket 입력을 위한 메뉴가 보이지 않습니다. 팔레트를 추가해야겠습니다. 그래서 팔레트 추가를 클릭하고, 묶음표의 +를 클릭합니다.   이제 팔레트에 묶음표가 추가되었습니다.  적용하고 싶은 오선을 선택한 후, 원하는 모양을 클릭하면 됩니다.  궁금한 사항은 쪽지나 댓글로 문의주세요!

MuseScore 2025.04.08

시스템 그루핑(System Grouping)-브레이스(brace)와 브라켓(braket)

악보에서 staff를 묶는 기호를 볼 수 있는데요.바로 system grouping인 브레이스와 브라켓입니다. 각각의 용도를 알아보겠습니다.  1. 브레이스(brace) 한 연주자가 연주하는 악보가 두 개 이상의 staff에 표기될 때 사용합니다. 대표적인 악기로는 피아노가 있습니다. 하프, 오르간, 마림바 및 건반악기들이 주로 사용합니다.   2. 브라켓(Bracket) 앙상블 혹은 오케스트라에서 같은 섹션 또는 패밀리에 속하는 악기를 그룹화할 때 사용합니다. 현악기, 목관악기, 금관악기, SATB 등의 그룹화에 사용됩니다.  궁금한 사항은 쪽지나 댓글 남겨주세요!

MuseScore 2025.04.07

빠르기(tempo) ② 쉬운 버전

음악을 많이 접하지 않았을 때 다양한 빠르기 표현이 어렵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다음은 많이 사용되는 빠르기 말을 좀 더 쉽게 설명한 것입니다. 느린 것 부터 빠른 것 까지 정리한 것입니다. Largo - Adagio - Andante - Moderato - Allegro - Presto 각 빠르기말은 BPM의 범위에 따라 이름을 붙인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BPM(beats per minute)이란 1분에 연주되는 비트의 개수입니다. 보통 기준이 되는 비트와 숫자로 표기합니다. 1. Largo(24bpm 이하)- 매우 느리고 폭넓음 박물관을 천천히 걷는 것과 비슷한 정도 빠르기슬프거나 성찰적 영화 장면에 어울립니다. Handel – Largo from Xerxeshttps://www.youtub..

기초음악이론 2025.04.07

5. 3화음(triad) ① 메이저, 마이너, 어그멘티드, 디미니시드 트라이어드

1. 3화음의 구조 3화음은 세 개의 음으로 구성된 화음을 의미합니다. 기본 형태는 3도씩 쌓아 만듭니다. 가장 아래의 음을 근음(root)이라하고, 나머지를 각각 3음(3rd)과 5음(5th)이라 합니다.  2. 기본 3화음 3화음의 기본 형태는 네 개입니다. 모두 C가 root지만, 3음과 5음이 다릅니다. 각 코드의 구분은 root와 3음 그리고 root와 5음의 관계로 만들어집니다. 먼저 root의 음 이름을 적고 성질을 적는 것입니다.  장3도와 완전5도 음정은 C단3도와 완전5도 음정은 Cm장3도와 증5도 음정은 Caug단3도와 감5도 음정은 Cdim 3화음 역시 메이저 스케일과의 관계에서 이해하는 것이 좋습니다.메이저 스케일의 첫 번째, 세 번째, 다섯 번째 음이 바로 메이저 트라이어드 입니..

MuseScore ㉓ 장식음, 트릴, 턴, 모르덴트 입력하기

피아노 악보를 만들다보면 다양한 장식음을 만나게 됩니다.  MuseScore는 음 입력 이외의 표기는 팔레트에서 손쉽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입력하고 싶은 음을 선택한 후, 팔레트에서 해당 장식음을 선택하면 됩니다. 하지만, 장식음에 임시표는 팔레트만으로 입력할 수 없습니다.  이런 변형된 입력을 위해 속성을 사용해야 합니다.팔레트에서 입력한 장식음을 선택한 후, 속성 → Ornament → 단2도를 선택하면 임시표가 있는 모르덴트를 만들 수 있습니다.   단2도는 기보된 F♯을 기준으로 단2도 음정을 만든다는 뜻입니다. F♯의 단2도는 E♯이기 때문에 단2도를 선택합니다.  궁금한 사항은 댓글 남겨주세요!

MuseScore 2025.04.06
728x90
반응형